교사의 여가활동참여와 교직만족도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정용재 | - |
dc.date.accessioned | 2017-02-22T05:51:35Z | - |
dc.date.available | 2017-02-22T05:51:35Z | - |
dc.date.issued | 2009 | - |
dc.date.submitted | 56907-01-30 | - |
dc.identifier.uri |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4639 | ko_KR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8703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의 표집은 부산광역시 16개 구군의 각 구·군별 2개교(일반계 : 1개교, 전문계 : 1개교)를 선정한 후 체계적 유층집락무선표집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92부의 자료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자료 중 유효한 367부의 자료만 전산 입력시켜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계수 산출,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은 Duncan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치의 유의 수준은 <.05 로 설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 실태에서 평일 여가활동시간은 학교별, 교육경력, 결혼 유·무에서 30분미만이 높게 나타났고, 주말 여가활동시간은 성별과 결혼 유·무에서 남자는 2시간-4시간미만, 여자는 2시간미만, 학교별과 교육경력에서는 2시간-4시간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여가활동 필요성은 성별, 학교별, 교육경력, 결혼유무에서 건강유지와 증진, 스트레스 해소가 가장 많고 장애요인으로 시간부족이 높게 나타났다. 현재 참여하고 있는 여가 활동은 스포츠 활동이 가장 많고 미혼자는 취미교양활동에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직만족도 차이에서 성별은 행정적 지원이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별은 인간관계와 전문성 신장이 전문계고가 일반계고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직경력은 교직자체와 행정적 지원, 전문성 신장에서 5년-9년이, 교수부담과 사회적 지위에서는 5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 여·부는 전문성 신장과 사회적 지위에서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 참여 실태에 따른 교직만족도 차이에서 평일의 여가활동 시간은 보수 및 승진이 2시간-3시간미만, 사회적 지위는 1시간-2시간미만, 전문성 신장은 30분-1시간미만이, 주말의 여가활동 시간은 인간관계와 교수부담은 6시간-8시간미만, 보수 및 승진과 행정적 지원은 8시간 이상이, 전문성 신장은 2시간 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여가활동 필요성은 인간관계와 보수 및 승진은 스트레스 해소, 교직자체와 행정적 지원은 업무능률 향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활동 장애요인은 인간관계와 보수 및 승진은 주변의 낮은 호응도, 교직자체와 교수부담은 경비문제와 기타, 전문성 신장은 시설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여가활동은 교직자체와 보수 및 승진에서 사교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how the effective plan to motivate teacher´s leisure activity by finding out how it affects the level of teacher´s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leisure activity, and then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s satisfaction. I selected two schools (one educational school and one technical school) of each district in Busan as sample of study and carried out questionnaire survey by using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nd I got back 392 questionnaires and treated valid 367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Cronbach´s coefficient output, t-test and one-way variable of analysis are used for date analysis. And Duncan test is used for post hoc. The significance level is set <.05, and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current study. Firstly, the result of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is that there is partly reasonable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usual features such as sex, grade of grade, career, and marriage It means that most of teachers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less than 30 minutes or from 2 to 4 hours at holidays or in weekends for their health and getting rid of their stress. It is also found out that the lack of time is problem for them. As they have more career experience, they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sport activities. Under ten year of career, they participate to reduce their stress, and over ten year of career, they participate to keep their health and improve it. It is found that married people like sport activity and educational interest activity, and singles like educational interest activity and spectacle or appreciation activity. Secondly, examining the level of teach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common features, I found that males set much higher values on executive support than females, and technical schools set much higher values on human relationship in clas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an educational schools. It is found that the career of teachers can be slightly differed by executive support, the charge of profess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ocial statue. And, singles set much high value 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ocial statue than married people. Lastly, the level of teacher´s satisfaction can be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 time of leisure activity in weekdays and weekends, contents of leisure activity, the necessity of leisure activity and the obstacle of leisure activity. It is also found that the time of leisure activity depends on wages, promotion, executive support, the charge of professor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isure activity needs human relationship, wages and promotion, executive support, and the obstacles of leisure activity are human relationship, wages, promotion, teaching profession itself, the charge of professor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isure activity can be slightly differed by teaching profession itself, wage and promotion.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3 3. 연구변인 및 연구모형 = 3 4.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7 1. 여가의 개념 = 7 2. 교직만족도 = 12 3. 선행연구 고찰 = 14 Ⅲ. 연구방법 = 16 1. 연구대상 = 16 2. 조사도구 = 17 3. 조사절차 = 20 4. 자료처리 = 20 Ⅳ. 연구결과 = 22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 실태 = 22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직만족도 = 35 3. 여가활동 참여 실태에 따른 교직만족도 = 40 Ⅴ. 논의 = 50 Ⅵ. 결론 및 제언 = 54 참고문헌 = 56 Abstract = 60 부록 교사의 여가활동 참여가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62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title | 교사의 여가활동참여와 교직만족도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Leisure Particip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School Teachers | - |
dc.type | Thesis | - |
dc.date.awarded | 2009-08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ung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ong Jae | -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